Contents 1. 배경 Amazon의 EC2나 Azure 등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무료 티어에선 용량이 30기가 정도로 매우 적게 할당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웹을 띄우거나, 뭔가 실험적으로 하기엔 매우 적은 용량입니다. docker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나 컨테이너, 컨테이너와 연결된 로컬의 용량 등을 한눈에 파악한다면, docker에서 사용 중인 용량을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docker 디스크 사용 상태 확인 1) docker system df docker system df 아래 출력이 나와 있습니다. TYPE에는 docker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컨테이너, 컨테이너와 연결된 로컬의 용량(Local Volumes)등의 종류가 나옵니다. 각 컬럼..
Contents 1. 배경 Docker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아예 중지시키는 것 말고, 잠깐 멈추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Docker에서 실행 중인 작업을 잠깐 멈췄다가, 다시 재개하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사용법 docker pause [콘테이너] # [콘테이너]의 실행을 멈춤 docker unpause [콘테이너] # [콘테이너]의 실행을 재개 위와 같은 명령을 통해 컨테이너의 실행을 잠깐 멈췄다가, 다시 재개시킬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부분에는 컨테이너의 ID나 컨테이너 이름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3. docker stop과 차이점 docker stop은 해당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스를 KILL 하는 반면, docker pause는 컨테이..
Contents 1. 배경 docker 컨테이너에 접속한 뒤, exit이나 Ctrl+D를 누르면 컨테이너가 종료되며 꺼집니다. 이런 경우, 컨테이너에 다시 들어가서 작업을 이어가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축키를 이용해 컨테이너 종료 없이 나가는 것(Detach)이 가능합니다. 2. 컨테이너 종료 없이 나가기 Ctrl + P + Q 컨트롤을 누른 상태에서 P와 Q를 동시에 누르면, 컨테이너 종료 없이 밖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이 단축키는 윈도우나 Mac, 리눅스에서 모두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3. 실습 docker run을 이용해, 리눅스 우분투(ubuntu) 컨테이너를 생성하며, 컨테이너에 들어간 뒤, 컨테이너 내부에서 Ctrl + P + Q를 눌러 나와보겠습니다. docker r..
Contents 1. docker run 명령어 docker run은 docker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옵션에 따라 컨테이너를 바로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명령어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ocker run [옵션] [이미지] [명령어] [인자] # 예시 docker run --rm ubuntu ls -l 예시를 보면 docker run 뒤에 --rm이 [옵션]이고 ubuntu가 리눅스 우분투 [이미지] 이름이며, ls가 [명령어]이고 -l이 [인자]입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리눅스 우분투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거기서 ls -l 명령어 결과를 출력하라는 의미입니다. --rm 옵션은 컨테이너 실행 완료와 함께 컨테이너를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